
parameter와 argument의 차이 매개변수(parameter)와 전달인자(argument)는 적당히 혼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매개변수는 함수의 정의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변수들을 의미하며, 전달인자는 함수를 호출할때 전달되는 실제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개변수는 변수(variable)로, 전달인자는 값(value)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 x, y는 parameters const plus = (x, y) => x + y; // 1, 2는 arguments plus(1, 2);

컴파일 언어와 스크립트 언어의 차이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알아듣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0, 1)로 번역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 과정을 언어에 따라 컴파일(compile) 혹은 인터프릿(interpret)이라고 하고, 각각을 실행하는 변환기를 컴파일러, 인터프리터라고 한다. 이때, 컴파일을 하는 언어를 컴파일 언어, 인터프릿을 하는 언어를 인터프리터 언어 혹은 스크립트 언어라고 한다. C, C++, Java와 같은 컴파일 언어는 코드를 작성한 후 컴파일을 하면, 컴파일러에 의해 기계어로 변환된 파일이 생성되고 컴퓨터는 그 파일을 실행한다. Python과 Javascript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는 별도의 파일 생성 없이 소스 코드가 작성될 때마다 인터프리터가 해당 코드를 기계어로 번..

in 연산자 해쉬 사용할 때 유용할 거 같다. 아래는 MDN 설명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in in 연산자는 명시된 속성이 명시된 객체에 존재하면 true를 반환합니다. 속성 in 객체명// 배열 var trees = new Array("redwood", "bay", "cedar", "oak", "maple"); 0 in trees // true를 반환합니다. 3 in trees // true를 반환합니다. (1 + 2) in trees // true를 반환합니다. 연산자 우선 순위에 의하여 이 구문의 괄호는 없어도 됩니다. 6 in trees // false를 반환합니다. "bay" in tree..

const h1 = document.createElement("h1"); document.querySelector("body").prepend(h1); const getTime = () => { const now = new Date(); let hours = now.getHours(); let minutes = now.getMinutes(); let seconds = now.getSeconds(); hours = hours < 10 ? `0${hours}` : hours; minutes = minutes < 10 ? `0${minutes}` : minutes; seconds = seconds < 10 ? `0${seconds}` : seconds; h1.innerText = `${hours}:${mi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