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에, 김정선 작가가 쓴 글에서 김훈 작가에 대한 말을 보았다. 김정선 작가는 원래 교정교열사로, 작가들의 글이 출판되기 전에 글을 살펴보며 맞춤법, 주술 관계 등을 고치는 작업을 하는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이 가장 인상적인 문장을 쓰는 작가로 김훈 작가를 뽑았었다.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아직도 기억나는 이유로는 김훈은 접속사를 잘 쓰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접속사 없는 장문의 글. 못 없이 지어진 집처럼 생각되었다. 언젠가는 김훈의 글을 읽고 싶어지는 추천이었다.이번 김훈 작가의 을 읽으면서 접속사가 쓰였는지 찾아보며 읽었다. 그런 형식적인 것에 집중하면 사실 읽는다기보다는 탐색에 가까운 일이겠지만 어찌되었든 신경쓰이는 건 사실이었다. 결론적으로 300페이지가 넘는 글에서 고작 두 번 쓰였다. 그..
47쪽인지 시스템이 다양한 신호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유창성 효과가 발생하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이를 극복할 수 없는 건 아니다.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유창성의 착각에서 깨어나려면 실제로 시도해 보면 된다. ... 실행에 옮기지 않은 채 춤을 따라 추거나 고객 앞에서 프레젠테이션 하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행동은 착각을 더욱 강화할 뿐이다. 58쪽예기치 못할 만한 사건이란 말 그대로 예측할 수 없는 것들이다. 그나마 우리가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생의 진리 한 가지는 언제나 사건이 터진다는 것이다. 그게 무슨 사건일지만 모를 뿐이다.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건 아니지만, 무수한 계획 오류를 경험하며 살아온 내가 이럴 때 쓰는 간단한 수법이 있다. 바로 처음 예상한 시간에 50퍼센트를 ..

코딩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들이 있는데 이걸 일일이 작성하고 있으면 상당히 귀찮고 피곤하다.이런 작업을 자동화해주는 방법을 알게되어 공유한다.React로 코딩을 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파일명으로 함수형 컴포넌트를 만들 일이 많아진다.export default function FileName() { return ;}이 작업이 너무 귀찮아서 코드 스니펫으로 넣어봤다.순서VScode에서 맥북 기준 Comman+P(윈도우는 Control+P)를 누르고 >을 누르면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Snippets: Configure Snippets을 클릭해준다.그 후 New Global Snippets Files... 을 클릭하고 원하는 파일 이름이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위와 같은 JSON 형식..
1. 문제 (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부딪혔던 기술적인 문제)Q. 이번 주차를 지나며 겪었던 문제가 무엇이었나요?A. 이벤트를 등록하는 시점을 HTML에 DOM 요소를 그린 이후로 옮기는 작업이 어려웠다.2. 시도컴포넌트 함수에 프로토타입으로 이벤트 리스너를 프로퍼티로 저장한 뒤 export 하고,root에 해당 함수의 HTML 요소를 그린 다음 리스너를 등록했다.3. 해결위와 같이 해결했다.4. 알게된 것이벤트 관리가 정말 까다롭다는 걸 알게 되었다. 내가 한 방법이 사실 그렇게 깔끔한 방법이 아닌 것 같아서 다른 분들의 코드를 좀더 살펴봐야겠다.Keep : 현재 만족하고 계속 유지할 부분기간 안에 테스트 코드를 모두 만족시켰다.Problem :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점이번 주를 마무리 하..